7일차 Python: 가상환경 설정, 연결

2023. 5. 18. 16:39카테고리 없음

728x90

툭."가상환경 설정해서 알아서 해봐 "

라고 한다.  ( 물론 이건 쫌 나쁜 예인것 같긴하지만...?)

 

왜 그럴까 ?
혹시나 베이스에 만들어두고 사용할 경우 환경의 변화에 의해서 한번 망가지면 모든 것이 틀어지기 때문이다.

 

참고로 지금까지 나온 버전 중에 가장 안정화된 버전은 3.9라고 한다. 

 

그럼 가상환경을 도입 하고자 한다면 먼저 

 

anaconda promp 을 실행한다 ( 시작메뉴 >> 찾기>> anaconda prompt 하면 쉽게 찾을 수 있다)

(python 버전 확인 : python --version // anaconda 버전 확인 : conda --version)

 

-conda create -n 가상환경이름 python=3.9

가상환경이름은 만들고자 하는 가상의 이름을 적으면 된다. 

 

가상환경 활성화 및 들어가기

conda activate 가상환경이름

 

여기서 jupyter notebook을 입력해보자. 실행되지 않을 것이다! (만약 실행되더라도 문제는 없다. 그 이유는 아래에 적어놓았다

jupyter notebook 설치

pip install jupyter notebook

 

커널 생성 

-python -m ipykernel install --user --name 가상환경폴더 --display-name 커널이름

 

커널이름은 아무렇게나 ! 일반적으론 가상환경폴더 이름 뒤에 kernel을 붙인다.

 

커널 목록 확인

jupyter kernelspec list

 

커널 삭제하기

jupyter kernelspec uninstall 커널이름에서 kernel을 뺀 이름.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커널 목록을 확인하자 . 좀 더 이해가 쉽다.)

 

커널 생성까지 완료 했다면,  jupyter notebook을 실행해서 오른쪽 상단의 new를 클릭하면 새로운 커널의 이름이 떠있는 것을 알 수 있다. 

 

conda env list : anaconda3의 폴더 위치 확인

 

(대개는 c:/사용자/사용자명/anaconda3 이 일반적일 것이다.)
순서의 경우는 anaconda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순서와 동일하게 한 것이므로, 순서가 달라도 될 수 있으나
같게 하는 게 좋다.